cleanUrl: /baemin
# disqus: your-short-name | true
hideNotionTitle: true
scrollProgressBar: # 페이지 가로 스크롤바를 표시합니다
show: true
color: "#2990B5"
fonts: # 페이지의 폰트를 설정합니다
headerFont: "Pretendard"
defaultFont: "Pretendard"
식자재 B2B 플랫폼, MOP 운영으로 쇼핑 검색 광고 입찰 관리의 해답을 찾다!
식자재 통합 B2B 서비스 플랫폼
B사는 외식업 종사자 전용 종합 쇼핑몰로, 고기·채소·소스 등의 식재료부터 냄비·선반 등의 주방용품, 그리고 포장 용기와 봉투 등의 배달 용품까지 가게를 운영할 때에 필요한 모든 상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2017년 서비스 오픈 후 업주들을 상대로 타겟 풀을 확대하며 놀라운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외식업 관련 온라인 커머스 플랫폼의 성공적인 MOP 도입 사례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소재 별 입찰 관리의 어려움을 겪다
B사는 온라인 환경에서 잠재 고객층을 효과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쇼핑 검색 광고를 활발히 운영해 왔습니다. 하지만 광고 담당 마케터가 수동으로 다수의 소재를 일일이 모니터링하는 과정은 과도한 인력 리소스가 투입되기에 현실적인 어려움이 존재하였습니다. 또한, 기존의 운영 인사이트에 따라 고효율 소재에 예산을 집중하는 한계점이 있었습니다.
이는 시간대 별, 다수의 각 소재 별 실시간 경쟁과 실적 데이터에 기반한 고도화된 입찰 관리를 지원하는 MOP를 도입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MOP의 전략은 무엇일까?
Ⅰ. 여러 개의 최적화 목표도 MOP에서는 OK!
B사는 잠재 소비자들의 홈페이지 유입과 구매로의 전환을 극대화할 뿐만 아니라, 객단가가 높은 상품을 판매해 매출까지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였습니다. 따라서 단일한 목표가 아닌, 클릭, 전환, 매출의 3가지 광고 지표를 동시에 최적화할 수 있는 MOP의 ‘다중 목표 최적화’ 알고리즘을 적용했습니다.
Ⅱ. 소재 별 예산 재분배를 통한 잠재 소재 발굴!
MOP는 전체 소재에 대한 매일, 매 시간의 AI 기반 모니터링과 수학적 최적화 알고리즘을 통하여 한정된 예산 내에서 전체 소재의 실적을 극대화할 수 있는 소재 별 예산 재분배를 지원하였습니다.
MOP는 어떻게 B사의 실적을 향상시켰을까?
A. 전환 다(多)발생 소재 그룹
B사의 경우 MOP를 도입하기 전에는 전환 발생 비중이 높은 소재 중심으로 예산을 집중하여 운영하면서, 평균 11%의 소재에서 약 60%의 광고비를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MOP 도입 후 효율적인 예산 운영을 위해 해당 소재들의 광고비를 약 40% 축소하였고, 결과적으로 CPA 22% 개선, ROAS 6.5% 상승하였습니다.
B. 전환 저(低)발생 소재 그룹
고비용 소재에서 확보한 광고비는, 추가적으로 성과를 낼 수 있는 새로운 소재에 재분배하였습니다. 기존 대비 광고비를 약 64% 확대하면서 매출 165% 상승이라는 놀라운 실적을 견인하였습니다.
MOP의 효과: 소재 별 전환 예측에 따른 예산 재분배로 매출 165% 상승!
기존에는 전환이 발생하는 소재에 집중하여 광고비 투자가 이루어졌습니다. 전환 다(多)발생 소재에 어느 정도의 예산을 투자하는 것이 합리적인지, 만약 축소한다면 어느 소재에서 얼마나 축소해야 하는지 계산하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MOP의 최적화 알고리즘은 그 정답을 알려줄 수 있습니다. MOP는 일별/시간별 소재의 실적을 예측하고, 각 소재의 최적의 조합을 계산하기 때문에 사람의 직관으로는 불가능했던 ‘합리적’인 예산 배분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입니다. 위 사례와 같이 소재 별 최적 예산을 계산하여, 과투자되던 소재는 감액하고, 매출 실적 발생 가능성이 있는 소재는 증액하며 전체적인 퍼포먼스를 확대합니다.
’직관’에 의존하지 않는 디지털 마케팅
MOP 솔루션을 통해 사람의 직관에서 벗어나 소재의 잠재 가치를 발굴하고 조금 더 비용 효율적으로 광고 실적을 확대할 수 있습니다. 사람이 할 수 없는 매 순간의 수많은 소재의 입찰 조합에 대한 반복적인 계산을 MOP의 지능화 된 AI가 대신하여, 비용 효율성을 확보한 채로 다중 운영 지표들의 목표값을 최대로 달성할 수 있는 최적의 입찰 전략을 찾아낸 덕분입니다.
MOP는 고객사 별로 상이한 목표의 달성 뿐만 아니라, 광고 비용 효율성을 확보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Q1. 기존 광고 캠페인을 운영할 때 어려운 점은 무엇이었나요?
업종 특성 상 취급하는 제품 카테고리가 너무 많아 물리적으로 관리가 너무 어려웠습니다. 또한 운영하는 키워드들 중 너무 General 한 일반 키워드가 많아 효율 관리가 어려웠습니다. 그에 따라 수기 관리 시 선택과 집중을 하기 어려워 성과 관리가 가장 큰 고민이었습니다
Q2. MOP 도입 전 어떤 기대를 가지고 있었나요? 또, 실제 사용했을 때 어떤 기능이 가장 많은 도움이 되었나요?
물리적으로 관리 리소스가 절감된 것은 기본이었고, 제품 카테고리 별로 나누어서 각각 입찰을 관리해주니까 성과가 개선되는 것이 보여서 좋았습니다.
키워드검색 뿐만 아니라 쇼핑검색 운영 시에도 많은 도움을 받았습니다. 상대적으로 쇼핑검색의 입찰도 이렇게 정확하게 구현되는 솔루션이 거의 없는데, MOP는 키워드검색 / 쇼핑검색 모두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 MOP 블로그의 모든 콘텐츠 저작권은 LG CNS MOP에 있습니다. 인용 시에는 반드시 출처를 표기해야 하며 복사·무단 전재·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